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파이썬(Python)] #7. string

python

by 빨간눈동자 2021. 8. 17. 11:02

본문

반응형

아래 예제를 참고하여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확인해보자 

# test.py
a = "HELLO WORLD"
b = 'hello world'
c = '''HELLO      
    WORLD'''
d = """hello
    world"""

print(a)    #(1) 큰따음표(")로 문자열 만들기
print(b)    #(2) 작은따음표(')로 문자열 만들기
print(c)    #(3) 작은따음표 3개로 여러줄 문자열 만들기
print(d)    #(4) 큰따음표 3개로 여러줄 문자열 만들기

aa = "python's program language"
bb = 'my name is "python"'

print(aa) # 큰따음표 안에 작은따음표 표시
print(bb) # 작은따음표 안에 큰따음표 표시

cc = 'python\'s program language'
dd = "my name is \"python\""

print(cc) # 작은따음표 안에 작은따음표 표시
print(dd) # 큰따음표 안에 큰따음표 표시

multiline = "welcom\n to python"

print(multiline) # 개행을 사용하여 여러줄의 문자열표시

아래 예제를 통해 문자열 합치기, 문자열 곱 등을 배울수 있으며, 문자열 인덱싱(indexing)과 슬라이싱 (slicing) 그리고 formating에 대한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수 있다. 

# test.py
a = "python"
b = "is program language"

print(a+b)    	# 문자열 덧셈

print(a*3)    	# 문자열 곱셉
print("="*10) 	# "="를 10번 출력한다. 
print("Comment")
print("="*10)

print(len(a)) 	# 문자열 길이 출력

#python indexing
#a = python
#    012345

print(a[0])		# a문자열의 0번째 값을 출력
print(a[1])     # a문자열의 1번째 값을 출력
print(a[2])		# a문자열의 2번째 값을 출력
print(a[3])		# a문자열의 3번째 값을 출력

#python slicing
print(a[0:3])	# a문자열의 0번째부터 3번째까지 출력
print(a[1:2])	# a문자열의 1번째부터 2번째까지 출력

#문자열 formating
c = "I have %d dollars" % 3
c1 = "I have {0} dollars".format(3)
dollar = 3
c2 = f"I have {dollar} dollars"
print(c)
print(c1) # format 함수를 이용
print(c2) # f 문자열 format

d = "My name is %s" % "jack"
d1 = "My name is {0}".format("jack")
name = "jack"
d2 = f"My name is {name}"
print(d)
print(d1)
print(d2)

e = "I have %d orange & %d apple" % (3, 4)
e1 = "I have {0} orange & {1} apple".format(3, 4)
orange = 3
apple = 4
e2 = f"I have {orange} orange & {apple} apple"
print(e)
print(e1)
print(e2)

split()

문자열.split() 함수는 문자열을 일정한 규칙으로 잘라서 리스트로 만들어 주는 함수이다.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.

문자열.split()
문자열.split('구분자')
문자열.split('구분자', 분할횟수)
문자열.split(sep='구분자', maxsplit=분할횟수)

간단한 예제를 살펴보자 

# test.py
a = "a.b.c.d.e.f.g"
b = "a b c e d f g"
a1 = a.split()
b1 = b.split()

print(f"a.splite : {a1}")
print(f"b.splite : {b1}")

a2 = a.split('.')
b2 = b.split('.')

print(f"a.splite('.') : {a2}")
print(f"b.splite('.') : {b2}")

a3 = a.split('.', 3)
b3 = b.split('.', 3)

print(f"a.splite('.', 3) : {a3}")
print(f"b.splite('.', 3) : {b3}")

a4 = a.split(sep='.', maxsplit=3)
b4 = b.split(sep='.', maxsplit=3)

print(f"a.splite('.', 3) : {a4}")
print(f"b.splite('.', 3) : {b4}")

join()

리스트에 있는 요소를 문자열로 합쳐주는 함수이며,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. 

''.join(리스트)         # 공백('')을 포함하여 리스트의 요소를 합쳐 문자열을 만듬
'구분자'.join(리스트)   # 구분자를 포함하여 리트스의 요소를 합쳐 문자열을 만듬

이해하기 쉽게 예제를 살펴보자 

# test.py
n = ["a", "b", "c", "d", "e", "f"]

b = ''.join(n)
c = '_'.join(n)
print(b)
print(c)

 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